뉴스 / / 2022. 2. 8. 12:00

한국, 18년 만에 대회 중 CAS 제소 '쇼트트랙 편파 판정'

반응형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가 중인 한국 선수단이 칼을 빼들었습니다. 쇼트트랙 종목에서 발생한 편파 판정 문제를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올림픽 기간 중에 한국 선수단이 CAS의 문을 두드리는 것은 무려 18년 만입니다.

 

 

대한체육회는 8일 "전날 중국 베이징의 캐피털 인도어 스타디움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 편파 판정과 관련, 이날 오전 11시 베이징 메인미디어센터(MMC)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게 되었습니다. 이번 문제를 CAS에 제소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7일 펼쳐졌던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한국은 이해할 수 없는 판정으로 눈물을 흘렸습니다. 황대헌(강원도청)과 이준서(한국체대)는 각각 조 1위와 2위로 결승선을 통과, 결승 진출을 눈앞에 뒀습니다. 그러나 비디오 판독 결과 두 선수 다 실격 처리되었습니다. 황대헌과 이준서 모두 레이스 과정에서 특별한 문제가 없어 보였기에 납득하기 어려운 판정이었습니다.

 

한국 선수들의 실격으로 생긴 빈자리는 중국 선수들로 채워졌습니다. 그리고 중국은 결승에서 논란 끝에 금메달과 은메달을 차지했습니다. 한국 선수단은 경기 종료 후 심판위원장에게 강력히 항의했고, 국제빙상경기연맹(ISU)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항의 서한문을 발송했습니다.

 

그리고 CAS 제소까지 결정, 공정하지 못한 심판 판정의 뿌리를 뽑겠다는 각오입니다. 한국이 올림픽 기간 중 심판 판정 문제로 CAS 제소를 결정한 것은 2004 아테네 하계올림픽 체조 양태영 사건 이후 무려 18년 만에 제소였습니다.

 

그만큼 이번 쇼트트랙 편파 판정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는 의미입니다. 아테네 올림픽에서 양태영은 심판의 가산점 연기에 대한 오심으로 동메달에 그쳤습니다. 국제체조연맹 역시 오심을 시인하고 주심과 기술심 등에 징계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이번 제소로 남자 1000m 결과가 바뀔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대회 중 제소'라는 결정을 내린 것은, 그냥 앉아서 당하고 억울해 하는 패턴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게다 아직 대회는 많이 남았습니다. 더 이상의 불이익은 없어야한다는 한국 선수단의 의지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