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작가 주호민이 최근 웹툰을 둘러싼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히면서 ‘시민독재’라는
표현을 사용한 데 대해 사과했습니다.
그는 지난 18일 트위치에서 인터넷방송을
진행하던 중 “최근 웹툰 검열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네티즌의 질문에
“옛날에는 국가가 검열을 했는데, 지금은 독자가 한다.
시민 독재의 시대가 열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발언은 최근 물의를 빚은 기안84의
‘복학왕’을 옹호하는 것이라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주호민은 1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단어 선택이 신중하지 못했다”며
“시민 독재는 제가 조절하지 못해서 나온
실언이었고 사과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자신의 발언이 최근 여성혐오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기안84의 ‘복학왕’과 삭의 ‘헬퍼’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많은 분이 오해하는데 두 작가의
만화를 보지 않는다.
그것 때문이 아닌 전반적인 분위기에 대한
얘기였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자신이 이같은 발언을 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과거 한 신인작가가 일진이 애들을 괴롭히는
만화를 그렸는데 댓글에 ‘어떻게 이런 걸 그릴 수 있냐’는
댓글이 달렸고, 작가가
‘나중에 일진들이 참교육을 당해 갱생하는 내용’
이라며 해명했다는 것입니다.
그는 “갱생하는 내용을 그리려면 나쁜 걸 그려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이런 그림을 그리냐’고 하니
작가가 위축이 돼 ‘사실은 제가 이렇게 그리려 했다’며
뒷내용을 말했다.
그게 되게 이상해 보였다”고 부연했습니다.
주호민은 “이런 상황이 심해지고 있다.
웹툰뿐 아니라 웹소설·예능도 마찬가지고 꽤 됐다”며
“꽤 오랫동안 진행된 것에 대한 우려를
표한 것이고 제가 과격한 단어를 사용했다.
죄송하다”고 다시 사과했습니다.
그는 또 자신의 발언을 정치적으로 해석한
비난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그는 “정권과 상관없이 진행된 것”이라며
“그렇게 연결되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 점에 있어서는 정말 큰 사과를 드린다.
뭐 할 말이 없다”고 인정하고 사과했습니다.